본문 바로가기

수능문법

(141)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7. 문법 요소의 활용 (1) 높임 표현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7. 문법 요소의 활용 (1) 높임 표현  말하는 사람이 어떤 대상이나 상대를 높이거나 낮추는 정도를 언어적으로 구별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나 체계를 높임법이라고 한다. 높임법은 높이거나 낮추는 대상에 따라 상대 높임법,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으로 나뉜다.  (1) 상대 높임법 상대 높임법은 화자가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어 표현하는 방법이다. (가) 지우야, 버스 왔어.(나) 할아버지, 버스 왔어요.(가)와 (나)에서는 청자에 따라 ‘왔어’, ‘왔어요’라고 종결 어미를 바꾸어 표현하고 있다. 상대 높임법은 주로 종결 어미에 의해 표현되는데, 크게 격식체와 비격식체로 나뉜다. 격식체는 높임의 순서에 따라 하십시오체, 하오체, 하게체, 해라체로 나뉘고, 비격식체는 해요체와 해체로 ..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6. 문장의 짜임 (3) 이어진문장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6. 문장의 짜임 (3) 이어진문장  이어진문장은 둘 이상의 절이 연결 어미로 이어진 겹문장을 말한다. 이어진문장은 절이 이어지는 방식에 따라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과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으로 나뉜다. (가) 비가 오고 바람이 분다.(나) 내일은 비가 오거나 눈이 올 것이다.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은 앞뒤 절이 ‘나열, 대조, 선택’ 등의 의미 관계를 지니며, ‘-고, -(으)며, -(으)나, -지만, -거나, -든지’ 등의 대등적 연결 어미에 의해 이어진다. (가)는 나열, (나)는 선택의 의미를 가지며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이다. (가) 비가 오면 창문을 닫아라.(나) 비가 와서 땅이 젖었다.(다) 비가 와도 현장 학습을 갈 것이다.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6. 문장의 짜임 (2) 안은문장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6. 문장의 짜임 (2) 안은문장  ※ 겹문장의 종류• 안은문장-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관형절을 가진 안은문장- 부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 인용절을 가진 안은문장•이어진문장-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  다른 문장 안에서 하나의 성분처럼 쓰이는 절을 안긴문장이라고 하는데, 안긴문장은 그 성격에 따라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로 나눌 수 있다. (가) 농부들이 비가 오기를 기다린다.(나) 나는 수영이가 추천한 책을 읽었다.(다) 고양이가 소리도 없이 들어왔다.(라) 우리 강아지는 머리가 좋다.(마) 지영이가 어디 가냐고 물었다. (가)는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으로, ‘농부들이 무엇을 기다린다.’라는 문장이..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6. 문장의 짜임 (1) 홑문장과 겹문장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6. 문장의 짜임 (1) 홑문장과 겹문장   (가) 여름이 왔다.(나) 나는 여름이 오기를 기다린다.(다) 봄이 가고 여름이 왔다. 문장은 기본적으로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다. (가)처럼 한 문장에서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을 홑문장이라고 하고, (나)와 (다)처럼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을 겹문장이라고 한다.겹문장은 다시 안은문장과 이어진문장으로 나눌 수 있다. (나)처럼 하나의 절이 다른 절 안에서 하나의 문장 성분처럼 쓰일 때 이 절을 포함한 문장을 안은문장이라고 하고, (다)처럼 둘 이상의 절이 나란히 이어지는 문장을 이어진문장이라고 한다. ※ 문장 성분• 주성분: 주어, 목적어, 보어, 서술어• 부속 성분: 관형어, 부..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5. 단어의 의미 관계 (2)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5. 단어의 의미 관계 (2)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소리는 같지만 의미가 서로 다른 단어를 동음이의어라고 하고, 두 가지 이상의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 단어를 다의어라고 한다.(가) 허겁지겁 뛰었더니 땀에 흠뻑 젖었다. (사람의 피부나 동물의 살가죽에서 나오는 찝찔한 액체)(나) 바느질을 한 땀 한 땀 정성 들여 했다. (실을 꿴 바늘로 한 번 뜬 자국을 세는 단위) 위의 (가)와 (나)에서 ‘땀’은 소리는 같지만 서로 뜻의 관련성이 없기 때문에 동음이의어이다. (가) 현우는 손이 커서 큰 장갑을 사야 한다. (사람의 팔목 끝에 달린 부분)(나) 그 일은 손이 많이 간다. (어떤 일을 하는 데 드는 사람의 힘이나 노력, 기술)(다) 요즘은 일이 바빠서 손이 많이 필요하다. (..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5. 단어의 의미 관계 (1) 단어의 의미 관계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5. 단어의 의미 관계 (1) 단어의 의미 관계  어휘란 일정한 범위 속에 들어 있는 단어의 집합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어휘를 구성하는 단어들은 의미를 중심으로 서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단어의 의미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활용하면 더욱 풍부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다. ※ 어휘의 유형어휘는 그 집합의 성격에 따라 한 나라의 어휘, 개인의 어휘, 특정 사회의 어휘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한국어의어휘’, ‘김소월 시의 어휘’, ‘청소년의 어휘’처럼 구분하는 것이 그 예이다.  (1) 유의 관계말소리는 다르지만 의미가 같거나 비슷한 단어들을 유의 관계에 있다고 하고, 이러한 단어들을 유의어라고 한다.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그 의미가 비슷하지만 쓰이는 상황과 ..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4. 단어의 짜임 (2) 단어의 구조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4. 단어의 짜임 (2) 단어의 구조   (1) 단어의 구조단어는 하나 이상의 형태소가 모여 이루어진다. 이때 형태소가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어근과 접사로 나눌 수 있다. 단어를 이루는 형태소 가운데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을 어근이라고 하고,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 뜻을 더하거나 제한하는 주변 부분을 접사라고 한다. 예를 들어 ‘맨손’, ‘웃음’에서 ‘손’과 ‘웃-’은 어근이고 ‘맨-’과 ‘-음’은 접사이다. ‘맨-’처럼 어근의 앞에 붙는 접사를 접두사, ‘-음’처럼 어근의 뒤에 붙는 접사를 접미사라고 한다. ※ 어근과 어간•어근: 단어를 이루는 형태소 가운데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  (예) ‘잡히다’의 ‘잡-’•어간: 용언의 활용에서 변하지 ..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4. 단어의 짜임 (1) 단어와 형태소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4. 단어의 짜임 (1) 단어와 형태소  하나의 문장은 몇 개의 더 작은 단위로 나눌 수 있다. 하늘에 비구름이 끼었다.(가) 하늘에 / 비구름이 / 끼었다(나) 하늘 / 에 / 비구름 / 이 / 끼었다(다) 하늘 / 에 / 비 / 구름 / 이 / 끼 / 었 / 다(가)는 문장을 띄어 쓰는 단위를 기준으로 나눈 것으로, 이 단위를 어절이라고 한다. (나)는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나 그 말의 뒤에 붙어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말을 단위로 나눈 것으로, 이 단위를 단어라고 한다. (다)는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 나눈 것으로, 이 단위를 형태소라고 한다. ※ 어절어절은 문장을 구성하는 단위, 즉 문장 성분의 최소 단위이다 예를 들어 위의 문장에서 ‘비구름’은 ‘비..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3. 품사의 분류와 활용 (2) 품사의 종류와 특성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3. 품사의 분류와 활용 (2) 품사의 종류와 특성  (1)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체언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쓰이며, 명사, 대명사, 수사가 이에 해당한다. 체언은 주로 조사와 결합하며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명사는 사람이나 사물, 장소 등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이다. 명사는 어떤 속성을 가진 일반적인 대상을 나타내는 보통 명사와 특정한 하나의 대상을 나타내는 고유 명사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홀로 쓰일 수 있는 자립 명사와 ‘것, 따름, 뿐’처럼 다른말에 기대어 쓰이는 의존 명사로 나눌 수 있다.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여 그것을 가리키는 말로, ‘이것, 그것’, ‘여기, 거기’ 등 사물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지시 대명사와 ‘나, 너, 우리’처럼 사람을..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3. 품사의 분류와 활용 (1) 품사의 분류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3. 품사의 분류와 활용 (1) 품사의 분류  단어들 가운데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들을 묶어서 분류해 놓은 갈래를 품사라고 한다. 품사를 분류하는 기준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형태, 기능, 의미가 그것이다. ‘형태’는 단어의 형태적 특징을 말하는 것으로, 단어의 형태 변화 여부를 말한다. ‘기능’은 한 단어가 문장 안에서 다른 단어와 맺는 문법적 관계를 말한다. ‘의미’는 개별 단어가 갖는 차별적인 의미가 아닌 하나의 품사를 구성하는 단어들이 공통으로 갖는 의미를 말한다.실제로 품사를 분류할 때에는 이 세 가지 기준을 차례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형태를 기준으로 형태가 변화하면 ‘가변어’, 변화하지 않으면 ‘불변어’로 나눌 수 있다. 다음으로 기능에 따라 가변어는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