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문법

(141)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2. 음운의 변동 (4) 축약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2. 음운의 변동 (4) 축약  (1) 거센소리되기예사소리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각각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바뀌는 현상을 거센소리되기라고 한다.(예) 놓고[노코], 많다[만타], 업히다[어피다], 젖히다[저치다] - 언어와 매체(미래앤)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2. 음운의 변동 (3) 첨가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2. 음운의 변동 (3) 첨가  (1) ‘ㄴ’ 첨가파생어나 합성어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ㄴ’ 첨가라고 한다.(예) 맨입[맨닙], 식용유[시굥뉴], 두통약[두통냑] ※ 사잇소리 현상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쳐져서 합성 명사가 될 때,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거나 ‘ㄴ’ 소리가 나거나 ‘ㄴㄴ’ 소리가 나는 일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사잇소리 현상이라고 한다.•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  (예) 밤길[밤낄], 냇가[내까/낻까], 촛불[초뿔/촏뿔]• ‘ㄴ’ 소리로 발음하는 경우  (예) 콧날[콛날 → 콘날], 아랫니[아랟니 → 아랜니]• ‘ㄴㄴ’ 소리로 발음하..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2. 음운의 변동 (2) 탈락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2. 음운의 변동 (2) 탈락  (1) 자음군 단순화음절의 끝에 자음이 두 개 연결된 자음군이 오면 두 자음 가운데 하나가 탈락하고 하나만 발음되는 현상을 자음군 단순화라고 한다.(예) 삶[삼],  맑다[막따],  읊다[읍따], 넋[넉], 값[갑], 핥다[할따]  (2) ‘ㄹ’ 탈락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의 끝소리 ‘ㄹ’이 몇몇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을 ‘ㄹ’ 탈락이라고 한다.(예) 알- + -는 → [아는], 둥글- + -ㄴ → [둥근] ※ 합성어나 파생어가 형성될 때의 'ㄹ' 탈락'말+소 → 마소', '바늘+질 → 바느질'과 같이 합성어나 파생어가 만들어질 때 'ㄹ'이 탈락한 경우에는 탈락한 발음을 표준어로 삼는다.  (3) ‘ㅎ’ 탈락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의 끝소리 ‘..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2. 음운의 변동 (1) 교체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2. 음운의 변동 (1) 교체  한 음운이 다른 음운과 결합할 때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음운 변동의 유형은 교체, 탈락, 첨가, 축약으로 나눌 수 있다. 교체는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탈락은 한 음운이없어지는 현상, 첨가는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기는 현상, 축약은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새로운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이다. ※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를  '발음의 경제성', '표현의 명료화'로 설명할 수 있다.- 발음의 경제성 : 발음을 쉽고 빠르게 해서 발음의 경제성을 높이려는 의도- 표현의 명료성 : 표현을 명료하게 하여 뜻을 좀 더 분명하게 전달하려는 의도 ..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 국어의 구조 (4) 비분절 음운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 국어의 구조 (4) 비분절 음운  음운이 의미의 차이를 구분하는 최소 단위라고 할 때, 소리의 길이도 의미 구별에 기여한다.(예) 말[馬, 斗], 말ː[言] / 굴[石花], 굴ː[窟] / 성인(成人), 성ː인(聖人) 국어에서 긴소리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나타난다. 본래 길게 발음되던 것도 둘째 음절 이하에 오면 짧은소리로 발음되는 것을 볼 수 있다.(예) 함박 + 눈ː → 함박눈 / 인사 + 말ː → 인사말 ※ 그 밖의 비분절 음운같은 말이라도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일 때 억양이 서로 다른 경향이 나타난다. 억양도 비분절 음운으로서 의미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예) 지금 집에 가. (↘), 지금 집에 가? (↗), 지금 집에 가! (→) ※ 국어의 비분절 ..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 국어의 구조 (3) 모음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 국어의 구조 (3) 모음  말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장애를 받지 않고 나오는 소리를 모음이라고 한다. 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단모음과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는 이중 모음이 있다.모음은 혀의 높낮이, 혀의 앞뒤 위치, 입술 모양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다. 모음은 혀의 높낮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고모음에는 ‘ㅣ, ㅟ, ㅡ, ㅜ’가 있고, 중모음에는 ‘ㅔ, ㅚ, ㅓ, ㅗ’가 있으며, 저모음에는 ‘ㅐ, ㅏ’가 있다. 모음은 혀의 앞뒤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으로 나눌 수도 있는데, 전설 모음에는 ‘ㅣ, ㅔ, ㅐ, ㅟ, ㅚ’, 후설 모음에는 ‘ㅡ, ㅓ, ㅏ, ㅜ, ㅗ’가 ..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 국어의 구조 (2) 자음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 국어의 구조 (2) 자음  말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장애를 받고 나오는 소리를 자음이라고 한다. 장애가 일어나는 자리를 조음 위치라고 하고, 장애를 일으키는 방법을 조음 방법이라고 하는데 국어의 자음 체계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나누어볼 수 있다.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로 나눌 수 있다. 입술소리는 두 입술에서 나는 소리로 ‘ㅂ, ㅃ, ㅍ, ㅁ’이 있다. 잇몸소리는 혀끝이 윗잇몸에 닿아서 나는 소리로 ‘ㄷ, ㄸ, ㅌ, ㅅ, ㅆ, ㄴ, ㄹ’이 있다. 센입천장소리는 혓바닥과 센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로 ‘ㅈ, ㅉ, ㅊ’이 있다. 여린입천장소리는 혀의 뒷부분과 여린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 국어의 구조 (1) 음운의 개념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 국어의 구조 (1) 음운의 개념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는 말소리를 음성이라고 한다. 음성은 사람마다 다르고 같은 사람의 음성이라도 때에 따라 다르다. 음성에서 공통적인 요소만을 뽑아 머릿속에서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말소리를 음운이라고 한다. 음성은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말소리인 데 반해, 음운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말소리이다.  ‘달’과 ‘탈’은 ‘ㄷ’과 ‘ㅌ’이라는 소리의 차이로, ‘달’과 ‘돌’은 ‘ㅏ’와 ‘ㅗ’라는 소리의 차이로 뜻이 달라진다. 이는 국어에서 ‘ㄷ’, ‘ㅌ’과 ‘ㅏ’, ‘ㅗ’가 단어의 뜻을 구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듯 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별해 주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라고 할 수 있다.음운은 분절 음운과 비분절 음운으로..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교과서 문법 내용 목차 1. 국어의 구조 1) 음운의 개념 2) 자음 3) 모음 4) 비분절 음운  2. 음운의 변동  1) 교체 (1) 음절의 끝소리 규칙(2) 비음화(3) 유음화(4) 구개음화(5) 된소리되기 2) 탈락 (1) 자음군 단순화(2) 'ㄹ' 탈락(3) 'ㅎ' 탈락(4) 'ㅡ' 탈락 3) 첨가 (1) 'ㄴ' 첨가 4) 축약 (1) 거센소리되기  3. 품사의 분류와 활용 1) 품사의 분류 2) 품사의 종류와 특성 (1)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2) 용언 - 동사, 형용사(3) 수식언 - 관형사, 부사(4) 관계언 - 조사(5) 독립언 - 감탄사  4. 단어의 짜임  1) 단어와 형태소 2) 단어의 구조 (1) 단어의 구조(2) 단어 만들기(3) 새말 만들기  5. 단어의 의미 관계  1) 단어의 의미 관계 ..
[문법기출] 한글 맞춤법 제35항, 제38항(준말) (2023년 7월 고3 학평) 제35항 모음 ‘ㅗ, ㅜ’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려 ‘ㅘ/ㅝ, ᅟᅪᆻ/ᅟᅯᆻ,'으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제35항 [붙임2]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ᅟᅫᆻ’으로 될 적에도 준 대로 적는다. 제38항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 새끼줄을 열심히 ㉠꼬았다.→ 제35항에 따라 '꽜다'로 줄어들 수 있다.◦ 올해도 큰집에서 설을 ㉡쇠었다.→ 제35항 [붙임2]에 따라 '쇘다'로 줄어들 수 있다.◦ 자전거 앞바퀴에 돌을 ㉢괴어 놓았다.→ 제35항 [붙임2]에 따라 '괘'로 줄어들 수 있다.◦ 그의 표정에서 지친 기색이 ㉣보이어 안타까웠다.→ 제38항에 따라 '뵈어' 또는 '보여'로 줄어들 수 있다.◦ 산 정상에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