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문법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2. 음운의 변동 (1) 교체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2. 음운의 변동 (1) 교체

 

 

한 음운이 다른 음운과 결합할 때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음운 변동의 유형은 교체, 탈락, 첨가, 축약으로 나눌 수 있다. 교체는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탈락은 한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 첨가는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기는 현상, 축약은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새로운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이다.

 

※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를  '발음의 경제성', '표현의 명료화'로 설명할 수 있다.

- 발음의 경제성 : 발음을 쉽고 빠르게 해서 발음의 경제성을 높이려는 의도

- 표현의 명료성 : 표현을 명료하게 하여 뜻을 좀 더 분명하게 전달하려는 의도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국어는 음절의 끝에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일곱 개 자음만 발음된다. 나머지 자음이 음절의 끝에 오면 이 일곱 자음 가운데 하나로 발음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빗, 빚, 빛’의 ‘ㅅ, ㅈ, ㅊ’은 모두
[ㄷ]으로 바뀐다.
(예) 부엌[부억], 밖[박] 낫[낟], 낮[낟], 낯[낟], 낱[낟] 무릎[무릅]

 

 

(2) 비음화


앞에 오는 음절의 끝소리가 ‘ㄱ, ㄷ, ㅂ’이고 그 뒤에 오는 음절의 첫소리가 ‘ㄴ, ㅁ’ 등의 비음일 때, 앞 음절의 ‘ㄱ, ㄷ, ㅂ’이 각각 비음 [ㅇ, ㄴ, ㅁ]으로 바뀌는 현상을 비음화라고 한다.

(예) 국물[궁물], 받는다[반는다], 밥물[밤물]

 

※ 'ㄹ'의 비음화

'ㄹ'의 비음화는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서 ‘ㄹ’이 ‘ㄴ’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이다. 고유어에서는 ‘ㄹ’을 제외한 자
음으로 끝나는 형태소와 ‘ㄹ’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결합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이 현상은 한자어나 외래어에서
만 적용된다. 또한 한자어나 외래어는 그 말음이 제한되어 있어서 경음이나 유기음으로 끝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ㄹ’의 비음화가 실제로 적용되는 양상은 ‘ㄱ, ㄴ, ㄷ, ㅁ, ㅂ, ㅇ’ 뒤에 오는 ‘ㄹ’이 ‘ㄴ’으로 바뀌
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예) 종로[종노], 함량[함냥], 백로[백노→뱅노]

 

 

(3) 유음화

 

‘ㄴ’이 유음 ‘ㄹ’ 앞이나 뒤에 올 때 [ㄹ]로 바뀌는 현상을 유음화라고 한다.
(예) 천리[철리], 칼날[칼랄]

 

 

(4) 구개음화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 나 반모음 ‘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서 구개음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을 구개음화라고 한다.
(예) 굳이[구지],  같이[가치]

 

※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원리

모음 'ㅣ'는 고모음이자 전설 모음으로, 센입천장소리인 'ㅈ, ㅊ'과 발음되는 위치가 거의 같다.

 

 

(5) 된소리되기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이 앞에 오는 소리의 영향을 받아 각각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으로 바뀌는 현상을 된소리되기라고 한다. 음절의 끝소리 ‘ㄱ, ㄷ, ㅂ’ 뒤에 오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하고,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의 끝소
리 ‘ㄴ, ㅁ’ 뒤에서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이 밖에 한자어에서 ‘ㄹ’ 뒤에 오는 ‘ㄷ, ㅅ, ㅈ’,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오는 ‘ㄱ, ㄷ, ㅂ, ㅅ, ㅈ’도 된소리로 발음한다.
(예) 국밥[국빱], 신고[신꼬], 갈등[갈뜽], 먹을 것[머글껃]

 

 

※ 자음 동화

음절의 끝에 오는 자음이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 어느 한 쪽이 다른 쪽 자음을 닮아서 그와 비슷한 성질을 지닌 소리로 바뀌거나,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다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비음화와 유음화가 있다.

 

※ 모음 동화

후설 모음 ‘ㅏ, ㅓ, ㅗ, ㅜ’가 뒤에 오는 전설 모음 ‘ㅣ’의 영향을 받아서 각각 ‘ㅐ, ㅔ, ㅚ, ㅟ’로 바뀌는 현상으로
‘ㅣ모음 역행 동화’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변한 발음은 ‘냄비, 멋쟁이, (불을) 댕기다’처럼 표준어가 된 일부 단어를
제외하고는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예) 아기 → [애기], 어미 → [에미], 고기 → [괴기], 죽이다 → [주기다] → [쥐기다]

 

- 언어와 매체(미래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