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문법

(142)
중세 국어의 특징(2024년 5월 고3 학평) [자료] ◦ ᄆᆡ햇 새 놀애 브르ᄂᆞ다  [들의 새가 노래를 부른다]◦ 하ᄂᆞᆳ 童男이 잇ᄂᆞᅌᅵ다  [하늘의 사내아이가 있습니다]→ 선어말 어미 ‘-ᅌᅵ-’가 상대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음. '-ᄂᆞ-'는 현재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로 쓰였음.◦ 도ᄌᆞᄀᆡ 알ᄑᆞᆯ  [도적의 앞을] ◦ 암ᄐᆞᆯ기 아ᄎᆞᄆᆡ 우러  [암탉이 아침에 울어]→ 'ᄋᆡ'가 관형격 조사와 부사격 조사로 모두 사용되었음. '도ᄌᆞᆨ+ᄋᆡ'와 같이 'ᄋᆡ'는 평칭의 유정 체언 뒤에서 관형격 조사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아ᄎᆞᆷ+ᄋᆡ'와 같이 일부 체언 뒤에서 부사격 조사로도 쓰였음.◦ 님그믈 救ᄒᆞ시고  [임금을 구하시고] ◦ 種種앳 됴ᄒᆞᆫ 오ᄉᆞᆯ 어드며  [종종 좋은 옷을 얻으며]  → 체언에 목적격 조사가 결합..
담화의 특성(2024년 5월 고3 학평) ▪ 담화에서 동일한 지시 표현이 맥락에 따라 서로 다른 대상을 가리킬 수 있으므로, 각각의 지시 표현이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지 정확히 확인한다. [자료] [예은, 세욱, 나라가 만나서 조별 과제를 하는 상황] 예은: 나라야, 괜찮아? 많이 피곤하니? 나라: ㉠어제 밤을 새웠더니 나도 모르게 졸았나 봐. 세욱: 그래? 조사할 자료가 많았구나. ㉡우리 다 같이 모여서 할걸. 나라: 그게 아니라 나는 ㉢오늘까지 제출해야 할 과제가 더 있어서 ㉣그거 준비하다가 못 잤어. 예은: 그랬구나. ㉤너 몸이 안 좋아 보이는데 ㉥지금 들어갈래? 나라: 괜찮아. 오늘은 자료 정리만 하면 되잖아. 할 수 있어. 세욱: 아니야. 거의 다 했는걸. 예은이랑 내가 ㉦이거 마무리할게. 끝나고 연락할 테니까 ㉧너는 집에서 쉬고 있어...
안긴문장 내에서 특수 어휘를 통한 주체 높임(2024년 5월 고3 학평) ▪ 주체 높임과 객체 높임에서 특수 어휘로 높임을 실현하는 방법과 겹문장에 대한 내용을 결합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 [자료] ○ 나는 친척 어르신께 안부를 여쭙기가 쑥스러웠다.→ 1차적으로는 서술절("친척 어르신께 안부를 여쭙기가 쑥스러웠다")을 가진 안은문장임. 서술절은 다시 명사절("친척 어르신께 안부를 여쭙기")을 가진 안은문장임. 명사절에서 '여쭙다'라는 특수 어휘를 사용하여 객체인 '친척 어르신'을 높이고 있음. ○ 아버지께서는 오랜만에 뵌 은사님과 저녁을 잡수셨다.→ 관형사절("오랜만에 뵌")을 가진 안은문장임. 관형사절에서 '뵈다'라는 특수 어휘를 사용하여 객체인 '은사님'을 높이고 있음. ○ 고향에 계신 할머니께서 앞마당에 감나무를 심으셨다.→ 관형사절("고향에 계신")을 가진 안은문장임..
형태소의 교체와 이형태(2024년 5월 고3 학평) ▪ 형태소는 고유한 의미를 지닌 가장 작은 말의 단위로, 환경에 따라 그형태가 달리 실현되기도 함.(예) '숲과[숩꽈]', '숲조차[숩쪼차]'에서 '숲'은 각기 다른 자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와 결합하지만 서로 동일한 형태로 실현되었음.(예) '맛' :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맛이[마시]', 비음을 제외한 자음 앞에서는 '맛도[맏또]', 비음 앞에서는 '맛만[만만]'과 같이 실현되어 각각 '맛', '맏', '만'이라는 형태로 나타남. ▪ 이처럼 하나의 형태소가 환경에 따라 다른 형태로 실현되는 것을 '형태소의 교체'라고 하며, 교체에 의해 달리 실현된 형태들을 '이형태'라고 함. '맛', '맏', '만'과 같은 이형태들이 분포하는 환경은 서로 겹치지 않는데, 이러한 분포를 '상보적 분포'라고 함..
관형사절의 문장 성분 생략(2024년 3월 고3 학평) ▪ 관형사절은 안은문장에서 관형어로 쓰이는데 이때 관형사절의 문장 성분이 생략되어 나타날 수 있음. [자료]○ 나는 동생이 좋아하는 음식을 준비했다.→ 관형사절 '동생이 좋아하는'에는 목적어 '음식을'이 생략되어 있음.○ 책의 내용을 모두 암기하기는 불가능하다.→ '책의 내용을 모두 엄기하기'는 명사절이며 주어로 쓰이고 있음.○ 교실에 있던 학생들이 운동장으로 나갔다.→ 관형사절 '교실에 있던'에는 주어 '학생들이'가 생략되어 있음.○ 악어가 물 밖으로 나온다는 사실을 알았다.→ 관형사절 '악어가 물 밖으로 나온다는'에는 생략된 문장 성분이 없음.○ 형이 내게 아홉 시까지 집에 오라고 말했다.→ '아홉 시까지 집에 오라고'는 간접 인용절이며 부사어로 쓰이고 있음.○ 나는 그 사람이 너를 속일 줄은 꿈에도..
합성어의 구성 방식(2024년 3월 고3 학평) ▪ 합성어 중에는 두 어근이 대등하게 결합하는 것이 있고(대등 합성어), 한 어근이 다른 어근을 수식하는 것도 있음(종속 합성어). 한편 각각의 어근이 원래 지닌 의미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것도 있음(융합 합성어). (예) 시냇물 주위로 논밭이 펼쳐진 경치가 아름답다. → '논밭'은 '논과 밭'을 의미하는 대등 합성어.       오늘 오랜만에 점심으로 보리밥 한 그릇을 먹었다. → '보리밥'은 '보리로 지은 밥'을 의미하는 종속 합성어.       버스가 돌다리를 건너 우리 마을로 들어서고 있었다. → '돌다리'는 '돌로 만든 다리'를 의미하는 종속 합성어.       지난밤 폭설로 인해 눈이 얼어 길바닥이 미끄러워졌다. → '길바닥'은 '길의 바닥 표면'을 의미하는 종속 합성어.       ..
음운 변동(2024년 3월 고3 학평) ▪ 제시된 단어들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음운 변동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그러한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다른 사례를 찾을 수 있어야 함. (예) 흙화덕[흐콰덕] : 자음군 단순화, 거센소리되기       드넓다[드널따] : 된소리되기, 자음군 단순화       끊겼다[끈켣따] : 거센소리되기,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겉치레[걷치레] : 음절의 끝소리 규칙 (예) 밝히다[발키다] : 거센소리되기       닭고기[닥꼬기] : 자음군 단순화, 된소리되기       깎고서[깍꼬서] :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숱하다[수타다] : 음절의 끝소리 규칙, 거센소리되기       단팥죽[단팓쭉] :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현대 국어의 품사(2024년 3월 고3 학평) ▪ 단어의 품사를 분류할 때 단어가 가지는 의미로 인해 품사를 혼동할 수 있음.(예) "이것은 보관하고, 나머지는 파기해라."에서 '이것'은 가까이에 있는 어떤 사물을 대신할 수 있는 대명사이고, '나머지'는 '어떤 한도에 차고 남은 부분'이라는 의미를 일정하게 가지고 있는 명사임.(예) "길게 남기다."의 '길게'는 '길-'에 어미 '-게'가 결합한 형용사의 활용형이고, "길이 남기다."의 '길이'는 '같이', '깨끗이'처럼 '길-'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부사임. ▪ 한 단어가 두 가지 이상의 품사로 쓰일 수 있다는 점도 품사 분류 시에 유의해야 함.(예) "박자가 늦다."에서 '늦다'는 속도가 느림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쓰였지만, "그는 약속 시간에 항상 늦는다."에서는 '늦..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1. 국어의 규범 (4)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1. 국어의 규범 (4)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4)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우리말을 로마자로 옮기는 방법에 관한 규정이다. 다른 나라와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일상생활에서뿐만 아니라 무역, 학문,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말을 로마자로 표기해야 하는 상황이 늘어나고 있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로마자로 표기할 때 통일된 규정을 지키지 않아 생기는 혼란이나 경제적 비용 문제를 해소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은 다음 두 가지 원칙을 다루고 있다. 제1항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에는 크게 글자 중심 표기법과 발음 ..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1. 국어의 규범 (2) 표준어 규정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1. 국어의 규범 (2) 표준어 규정  표준어는 한 나라에서 공용어로 쓰는 규범으로서의 언어를 말하는 것으로, 원활한 의사소통과 올바른 언어생활을 위해 제정되었다. 〈표준어 규정〉은 ‘표준어 사정 원칙’과 ‘표준 발음법’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준어는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뜻을 알고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일정한 기준을 정하여 표준어를 만들었는데, 표준어는 지역적으로 서울말을, 계층적으로 교양 있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을, 시대적으로는 현대 국어라는조건을 포함하고 있다. 모든 사람이 표준어를 동일하게 발음하게 되면 통일된 언어 생활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