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문법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0. 시대적 특성에 따른 국어 자료 (3) 근대 국어

[교과서 정리] 언어와 매체 10. 시대적 특성에 따른 국어 자료 (3) 근대 국어

 

 

(3) 근대 국어


근대 국어 시기에 이르면 우리말은 현대 국어와 가까운 모습을 보이게 된다. 한글 사용의 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일상생활을 담은 편지글, 소설이나 수필 등의 창작에 널리 사용되었다. 그리고 한문을 섞어 쓰는 국한문 혼용 방식과 한글로만 표기하는 방식이 함께 쓰였다.

 

 

18세기에 쓰인 《의유당관북유람일기》를 보면 ‘홍ᄉᆡᆨ이거록ᄒᆞ야’에서와 같이 단어의 원형을 밝히는 끊어 적기가 사용되었으나 ‘믈밋ᄎᆞᆯ’과 같은 거듭 적기도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이 시기가 이어 적기에서 끊어 적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하ᄂᆞᆯ을’, ‘나를’, ‘보는’ 등과 같이 ‘·’의 음가가 소실되면서 모음 조화가 파괴되었고, ‘븕기’에서 알 수 있듯이 명사형 어미 ‘-기’가 사용되었다.

 

 

※ 표기법의 종류
• 이어 적기(연철): 한 음절의 종성을 다음 자의 초성으로 내려 씀.  (예) 기픈
• 끊어 적기(분철): 단어의 원래 형태를 밝혀 적음.  (예) 깊은
• 거듭 적기(중철): 종성을 뒤 모음에 다시 붙여 씀.  (예) 깁픈

 

 근대 국어의 특징
(표기) 받침으로 8개 자음을 적던 중세 국어와 달리 ‘ㄷ’을 제외한 7개 자음만을 적음. 중세의 이어 적기 표기가 현대의 끊어 적기 표기로 나아가는 과도기로, 거듭 적기 표기도 나타남.

(음운) 자음 ‘ㅿ’, ‘ㆆ’이 음가를 잃어 표기상으로 나타나지 않게 됨. ‘ㆍ’는 표기로는 나타나지만 점차 음가를 잃게 됨. 구개음화가 일어나기 시작함.

(문법) 주격 조사 ‘가’가 사용되기 시작함. 선어말 어미 ‘-오-’가 소멸됨. 한글 사용이 확대됨.
(어휘) 한자어가 점차 늘고 고유어가 사라지기도 함.

 

- 언어와 매체(미래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