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문법

[문법 기출] 중세 국어 관형격 조사의 예외적 결합(2023년 6월 고3 모평)

▪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는 평칭의 유정 체언에는 모음 조화에 따라 'ᄋᆡ/의'가, 무정 체언 또는 존칭의 유정 체언에는 'ㅅ'이 결합하는 원칙이 있었음.

 

관형격 조사 'ㅅ'이 쓰일 자리에 관형격 조사 '의'가 쓰여 후행하는 용언의 의미상의 주어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중세 국어 관형격 조사 결합 원칙의 예외에 해당함.

 

(예) 孔子의 기티신 글워리라 [공자의 남기신 글이다]

→ '공자'는 존칭의 유정 체언이므로 관형격 조사 'ㅅ'이 쓰여야 하지만,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하여 후행하는 용언 '기티신'의 의미상의 주어를 나타네고 있으므로 관형격 조사의 예외적 결합에 해당한다.

 

 

cf. 수픐(수플+ㅅ) 神靈이 길헤 나아 [수풀의 신령이 길에 나와]

→ '수플'은 무정 체언이므로 관형격 조사 'ㅅ'이 쓰임.


cf.  ᄂᆞᄆᆡ(ᄂᆞᆷᄋᆡ) 말 드러ᅀᅡ 알 씨라 [남의 말 들어야 아는 것이다]

→ ' ᄂᆞᆷ'은 평칭의 유정 체언이므로 모음 조화에 따라 관형격 조사 ' ᄋᆡ'가 쓰임.

 

cf.  世界ㅅ(世界+ㅅ) 일ᄋᆞᆯ 보샤 [세계의 일을 보시어]

→ ' 世界'는 무정 체언이므로 관형격 조사 'ㅅ'이 쓰임.


cf. 사ᄅᆞᄆᆡ(사ᄅᆞᆷ+ᄋᆡ) 잇ᄂᆞᆫ 方面을 [이 사람의 있는 방면을]

→ '사ᄅᆞᆷ'은 평칭의 유정 체언이므로 모음 조화에 따라 'ᄋᆡ'가 쓰임. '사ᄅᆞᄆᆡ'가 후행하는 용언 '잇ᄂᆞᆫ'의 의미상의 주어를 나타내고 있지만 원래  'ᄋᆡ'가 쓰일 자리에 'ᄋᆡ'가 쓰인 것이므로 예외적 결합에 해당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