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독서

[2024 수능특강] 독서 지문 요약 : 코나투스

■ 코나투스

이 글은 서구 철학에서 대대로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어 온 코나투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코나투스는 사물이 자기 존재를 보존하려는 경향을 의미하는 말로, 고대의 스토아학파나 중세의 스콜라 철학, 르네상스 철학자들은 모두 코나투스를 자기 보존의 욕망으로 보았다. 근대의 철학자들은 이러한 관점을 수용하면서도 코나투스를 다른 관점에서 보기도 하였는데, 데카르트와 홉스는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코나투스를 활용하였다. 코나투스를 가장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철학자인 스피노자 역시 자기 보존의 욕망이라는 관점에서 인간의 코나투스가 의지와 욕구, 두 가지로 나타난다고 보았고, 의식과 결합한 욕구를 욕망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인간은 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하는 욕망이 있기 때문에 타인과의 공존이 필요함을 이야기하였고, 이는 코나투스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하였다.

주제 : 시대의 흐름에 따른 코나투스의 의미 변화와 특성

 

 

Conatus

This article explains the concept of conatus,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ncept in Western philosophy throughout the ages. Conatus refers to the tendency of things to preserve their own existence. Ancient Stoic philosophers, medieval Scholastic philosophers, and Renaissance philosophers all viewed conatus as the desire for self-preservation. Modern philosophers accepted this perspective but also viewed conatus from different angles. Descartes and Hobbes, for instance, used conatus to explain the motion of objects. Spinoza, who embraced conatus most actively, viewed human conatus as manifesting in will and desire from the perspective of self-preservation, defining desire as the striving coupled with consciousness. He also discussed the need for coexistence with others due to humans' desire for a better life, which he explained leads to an increase in conatus over time.

Topic: Evolution of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onatu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