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문법

[문법기출] 음운, 음절 구조, 음운 규칙의 개념 및 양상(2022년 6월 고3 모평)

 음운은 단어의 뜻을 변별하는 데 사용되는 소리로, 언어마다 차이가 있음.

(예) 국어에서는 음운으로서 'ㅅ'과 'ㅆ'을 구분하지만 영어에서는 구분하지 않음.

 

▪ 음운이 실제로 발음되기 위해서는 발음의 최소 단위인 음절을 이뤄야 함. 음절의 구조도 언어마다 다름.

(예) 국어는 한 음절 내에서 모음 앞이나 뒤에 각각 최대 하나의 자음을 둘 수 있지만, 영어는 'spring[spriŋ]'처럼 한 음절 내에서 자음군이 형성될 수 있음.

→ 국어 음절 구조의 특징을 고려하면 '몫[목]'의 발음에서 음운이 탈락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음.

 

 음운은 그 자체로는 뜻이 없음. 음운이 하나 이상 모여 뜻을 가지면 의미의 최소 단위인 형태소가 됨. 이러한 형태소를 결합하여 단어를 만들고 말을 함.

→ 국어 음운 'ㄹ'은 그 자체에는 뜻이 없지만, '갈 곳'의 'ㄹ'은 어미로 쓰이고 있으므로 뜻을 가진 최소 단위가 됨.

 

 이때 형태소와 형태소가 만나는 경계에서 음운이 다양하게 배열되고 발음이 결정되는데, 여기에 음운 규칙이 관여함.

(예) '국물[궁물]'처럼 '파열음-비음' 순의 음운 배열이 만들어지면, 파열음은 동일 조음 위치의 비음으로 교체됨.

 그런데 이런 음운 규칙도 모든 언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님.

(예) 영어에서는 'nickname[nikneim]'처럼 '파열음(k)-비음(n)'이 배열되어도 비음화가 일어나지 않음.

 

 음운, 음절 구조, 음운 규칙은 말을 할 때뿐만 아니라 말을 들을 때도 작동함. 이들은 말을 할 때는 발음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재료, 구조, 방법이 되고, 말을 들을 때는 말소리를 분류하고 인식하는 틀이 됨.

(예) '국'과 '밥'이 결합한 '국밥'은 된소리되기가 적용되어 늘 [국빱]으로 발음되지만, 우리는 이것을 '빱'이 아니라 '밥'과 관련된 것으로 인식함. 그 이유는 [국빱]을 들을 때 된소리되기가 인식의 틀로 작동하여 된소리되기 이전의 음운 배열인 '국밥'으로 복원되기 때문임.

→ 국어에서 '밥만 있어'의 '밥만[밤만]'을 듣고 '밥만'으로 알았다면 그 과정에서 비음화 규칙이 인식의 틀로 작동했음.

 

 외국어를 듣는 상황을 생각해 보면, 국어의 음절 구조와 맞지 않는 소리를 듣는다면 국어의 음절 구조에 맞게 바꾸고, 국어에 없는 소리를 듣는다면 국어에서 가장 가까운 음운으로 바꾸어 인식하게 됨.

(예) 영어 단어 'bus'를 우리말 음절 구조에 맞게 2음절로 바꾸고, 'b'를 'ㅂ' 또는 'ㅃ'으로 바꾸어 [버스]나 [뻐스]로 인식함.

→ 영어의 'spring'이 국어에서 3음절 '스프링'으로 인식되는 것은 국어 음절 구조 인식의 틀이 제대로 작동한 결과임.

→ 영어의 'vocal'이 국어에서 '보컬'로 인식되는 것은 영어 'v'와 가장 비슷한 국어 음운이 'ㅂ'이기 때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