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독서

[2024 수능특강] 독서 지문 요약 : 중국의 사의화와 조선 후기의 회화론

■ 중국의 사의화와 조선 후기의 회화론 (Chinese "sayi-hua" and Late Joseon Painting Theory)

 

(가) 북송의 학자였던 소식은 개인의 정신세계 표출이라는 회화 이념을 수립하고 수묵화를 통해 작가의 내면을 표현하려 하였다. 그는 그림에서 대상의 외양을 닮게 그리는 것, 형사 (形似)’가 아닌 작가의 정신세계를 담아내는 것, 신사(神似)’ 를 중시하고, ‘신사를 중시하는 그림인 사의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그는 그림에서 사물의 형상인 상형(常形)’보다 사물의 본질인 상리(常理)’를 잃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하고 상리를 잃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작가의 ()’를 드러내는 그림을 중시한 소식의 예술관은 후대의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쳤고, 올바른 미술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게 하였다.

주제 : 신사를 중시한 소식의 사의화

 

 

This article explains the concept of "sayi-hua" (painting of ideas) emphasized by Su Shi, a scholar from the Northern Song dynasty. Su Shi believed that the true essence of painting was to express the artist's inner world, rather than just accurately depic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subjects. He valued "spiritual resemblance" (shensi) over "physical resemblance" (xingsi), meaning the painting should capture the spirit and ideas of the artist rather than just the outward form of objects.

Su Shi introduced the term "sayi-hua" to describe paintings that focused on expressing the artist's mind. He argued that losing the true essence of things ("changli") was a greater problem than not capturing their usual shape ("changxing").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ot losing the "changli" in painting.

Su Shi's artistic philosophy, which prioritized the expression of the artist's "intent" (yi), influenced many later artists and led to a deeper consideration of what constitutes true art.

Topic: Su Shi's Sayi-hua, Emphasizing Spiritual Resemblance

 

 

(조선 후기 회화에서는 신사를 중시하는 전신론에 따라 그림을 바라보려는 경향이 있었고, 박지원도 이에 따라 그림에서 작가의 내면을 잘 드러내는 것을 중시하였다. 하지만 그림에서 대상의 형체가 소홀하게 다루어져 그림이 실제 형태와 어긋나는 세태를 비판하는 학자들도 있었다. 이익은 정확한 고증을 중시하는 학풍을 바탕으로 사실성과 구체성을 강조하는 회화론을 전개하였다. 윤두서도 세계와 사물, 인간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 노력하였고, 이를 시각적 사실성을 강조하는 회화를 제작하는 데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익과 윤두서가 그림을 통해 작가의 내면세계를 드러내는 신사를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사실성이 확보된 그림을 통해 신사가 드러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들의 회화관은 관념에 치중한 당시 그림에 대한 반성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주제 : 박지원, 이익, 윤두서의 화론

 

 

This article discusses the painting theories of Park Ji-won, Yi Ik, and Yun Du-seo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in Korea. In this era, there was a tendency to view paintings according to the theory of "transmitting the spirit" (jeonsinron), which emphasized capturing the artist's inner world ("shinsa"). Park Ji-won valued expressing the artist's inner self in paintings. However, some scholars criticized the trend where the physical form of subjects in paintings was neglected, leading to inaccuracies.

Yi Ik, based on a scholarly tradition that valued precise verification, emphasized realism and concreteness in his painting theory. Yun Du-seo also aimed to view the world, objects, and humans objectively, applying this to create paintings with visual realism. Nevertheless, Yi Ik and Yun Du-seo did not deny the importance of expressing the artist's inner world ("shinsa") through paintings. They believed that the inner spirit could be revealed through paintings that ensured realism.

Their perspectives on painting provided a reflection on the contemporary trend of overly conceptual art.

Topic: Painting Theories of Park Ji-won, Yi Ik, and Yun Du-s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