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독서

[2024 수능특강] 독서 지문 요약 : 예술 제도론

■ 예술 제도론

이 글은 예술 제도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예술 제도론에 따르면, 예술 작품은 예술가와 감상자의 활동이 어떤 기본적인 규칙과 절차에 따라 통합된 사회적 실천을 통해 생겨난 것이다. 따라서 어떤 것을 예술 작품으로 만들어 주는 사회적 질서를 파악하고 그 질서의 특징들을 정리해 낼 수 있다면, 예술과 비예술을 구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어떤 것을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사회적 실천의 체계가 예술계이다. 예술계가 어떤 것을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규칙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만일 x가 인공물이고, 어떤 제도(예술계)를 대표하여 행위를 하는 사람이 x에 감상의 후보 지위를 부여한다면, 오직 그때에만 그 x는 가치 중립적인 분류적 의미에서 예술 작품이다. 이때 감상의 후보 지위를 부여하는 이는 대다수의 경우 예술가들이며, 예술가는 어떤 것을 만들고 그것을 감상자가 주의하고 이해하도록 제시한다. 그것이 그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감상자이다. 예술 제도론은 예술 대상의 내적 속성에 초점을 맞추었던 이전의 예술 이론들과 달리 대상의 예술적 지위를 결정하는 데에 사회적 맥락이 중요하다는 점을 환기했다.

주제 : 예술 제도론에 대한 이해

 

 

The Institutional Theory of Art

This article explains the 'Institutional Theory of Art.' According to this theory, art is created through social practices involving the activities of artists and viewers, following certain rules and procedures. If we can identify the social order that makes something an art piece and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we can distinguish between art and non-art. The system of social practices that makes something an art piece is called the 'artworld.' The rules and procedures of the artworld are as follows: if x is an artifact and someone representing an institution (the artworld) gives x the status of a candidate for appreciation, only then does x become an art piece in a neutral, classificatory sense. The person granting this status is usually an artist, who creates something and presents it for the viewer to notice and understand. It is up to the viewers to decide if it is worth appreciating. Unlike previous theories that focused on the intrinsic properties of art objects, the Institutional Theory of Ar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 in determining the artistic status of an object.

Topic: Understanding the Institutional Theory of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