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독서

[2024 수능완성] 독서 지문 요약 : 영화에서 몽타주 사용에 대한 상반된 입장

 영화에서 몽타주 사용에 대한 상반된 입장

영화의 초기 이론에서는 영화적 표현이 예술가의 목적으로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의미화 작업이라는 입장과 현실을 충실하게 재현하는 작업이라는 입장이 대립하였다. 편집이 생산적 기능을 수행하여 영화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주장하는 이론가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예이젠시테인은 감독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몽타주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각각의 숏을 대등한 수준으로 이용하는 중립화를 통해 감독이 원하는 의미를 얻는다고 보았으며, 영화에 나타나는 다양한 청각적 요소들인 말, 소음, 음악 등도 영상과 동등하게 사용되며 의미 형성에 기여한다고 생각했다. 이와 달리 바쟁은 몽타주가 하나의 의미나 결과만을 강요하여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광범위하게 재현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한정된 범위에서만 사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현실을 사실적으로 지각하고 반영하기 위해 영화의 기본적 요소들의 그것들의 상호 관계 및 사실적 결합 등을 강좌는 디프 포커스와 롱 테이크 기법에 주목했다.

주제 : 몽타주 사용에 대한 예이젠시테인과 바쟁의 상반된 입장

 

 

Contrasting Views on the Use of Montage in Films

In early film theory, there were two opposing views: one that film expression should best represent the artist's purpose through meaningful construction, and another that it should faithfully reproduce reality. Representing the view that editing plays a productive and essential role in film, Eisenstein believed that montage should create new meanings according to the director's ideology. He thought that the desired meaning could be achieved by using each shot equally through neutralization, and that various auditory elements like speech, noise, and music should be used equally with visuals to contribute to meaning.

On the other hand, Bazin believed that montage imposes a single meaning or outcome, thus failing to broadly represent all possible realities. He argued that it should be used within limited scope. To realistically perceive and reflect reality, he focused on techniques like deep focus and long takes, which emphasize the interrelationships and realistic combination of the basic elements of film.

Topic: Contrasting Views of Eisenstein and Bazin on the Use of Mon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