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문법

[어문 규범] 한글 맞춤법 제48항(고유 명사 성명 띄어쓰기)

 

 

 

  우리나라의 성(姓)과 이름은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고 고유한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독립적인 단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과 이름을 띄어 써야 할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성과 이름은 개별적인 단어이면서 하나의 고유 명사이기도 해서, 성과 이름을 분리하여 생각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 사람의 성은 거의 한 음절로 되어 있어서 직관적으로 한 단어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성과 이름을 붙여 쓰도록 한 것이다. 이름과 마찬가지 성격을 지닌 호(號)나 자(字)가 성에 붙는 형식도 이에 준한다.

 

     홍길동          전시내(全--)          정송강

     이충무공      이퇴계                   김매월당

 

  그러나 성과 이름을 혼동할 우려가 있을 때는 띄어 쓸 수 있다. 예컨대 ‘남궁수, 황보영’ 같은 성명은 ‘남-궁수, 황-보영’인지 ‘남궁-수, 황보-영’인지 혼동할 염려가 있으므로, 성과 이름을 분명하게 밝힐 필요가 있을 때에는 띄어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규정의 예에서는 ‘남궁, 독고, 황보’와 같이 두 글자 성만을 보였으나, 성과 이름의 경계가 혼동될 여지가 있으면 한 글자 성도 띄어 쓸 수 있다.

 

     선우진 / 선우 진(‘선우’씨인 ‘진’) / 선 우진(‘선’씨인 ‘우진’)

 

  한편 성명 또는 성이나 이름 뒤에 붙는 호칭어나 관직명 등은 고유 명사와 별개의 단위이므로 띄어 쓴다. 호나 자 등이 성명 앞에 놓이는 경우도 띄어 쓴다.

 

     홍길동 씨          홍 씨          길동 씨

     김철수 군          김 군          철수 군

     박선영 양          박 양          선영 양

     김선숙 옹          김 옹

     민수철 교수     민 교수

 

     총장 정영수 박사          율곡 이이                    백범 김구

     사 사장(史 社長)           여여 사(呂 女史)          황희 정승

 

  우리 한자음으로 적는 중국 인명에도 이 항의 규정이 적용된다.

 

     조맹부(趙孟頫)          소식(蘇軾)          왕희지(王羲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