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문법

[어문 규범] 한글 맞춤법 제27항(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이 조항에서는 합성어와 파생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원형을 밝혀 적을 것을 규정하고 있다. 첫째,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룰 때에는 단어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 예를 들어 '꽃'과 '잎'이 합성어를 이룰 때 [꼰닙]으로 소리가 나지만 단어의 원형을 밝혀 '꽃잎'으로 적는다. '눈'과 '살'이 합성어를 이룰 때도 [눈쌀]로 소리 나지만 '눈'과 '살'이 자립적으로 쓰이므로 '눈살'로 형태소를 밝혀 적는다.

 

 

 

한편 제시한 말 가운데 '끝장', '밑천', '싫증'은 구성 요소 가운데 하나가 실질 형태소로 분명하게 분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끝장'은 '끝'에 비해서 '장'의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실질 형태소인 '끝'과 함께 쓰여 '끝장'의 전체 의미를 구성한다고 생각하면 '장'을 실질 형태소로 분석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밑천[믿천], 싫증[실쯩]'도 비슷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둘째, 접두사가 자립적인 어근에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가 형성될 때, 어근의 본뜻이 유지되고 파생어의 의미를 접두사와 어근의 의미로 예측할 수 있으면 원형을 밝혀 적는다.

 

 

 

한편 접두사 '새-/시-, 샛-/싯-'은 뒤에 오는 말에 따라 구별된다. 된소리, 거센소리, 'ㅎ' 앞에는 '새-/시-'가, 유성음 앞에는 '샛-/싯-'이 결합한다. 이 중 '새-, 샛-'은 뒷말이 양성 모음일 때, '시-, 싯-'은 뒷말이 음성 모음일 때 결합한다.

 

 

 

[붙임 1] 어원이 분명하더라도 이미 소리가 바뀐 경우에는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할아버지, 할아범'은 '한아버지, 한아범'에서 온 말이지만, [하라버지]와 [하라범]으로 발음이 바뀌었으므로 바뀐 대로 적는다.

 

[붙임 2] 어원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며칠'은 '몇 년 몇 월 몇 일'처럼 '몇'이 공통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몇 일'로 쓰는 일이 많다. 

'아재비'는 옛말 '아자비'에서 온 말이다. 그렇지만 '아자비'가 '앚+아비'로 분석된다고 해서 형태가 변한 '아재비'를 '앚애비'로 적을 수는 없는 일이다. '오라비'도 이와 마찬가지다. '아비'를 분석해서 '올아비'와 같이 적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부리나케(서둘러서 아주 급하게)'는 어원적으로 '불이 나게'와 관련이 있지만 의미가 멀어졌으므로 '불이나케'와 같이 적을 이유는 없다. 이와는 달리, '섣부르다(솜씨가 설고 어설프다)'는 '설다(익숙하지 못하고 서투르다)'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섣부르다(←설부르다)'로 적는다. (한글 맞춤법 제29항)

 

[붙임 3] 합성어에서 실질 형태소가 의미를 유지하는 경우,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齒, 虱]'는 예외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간이, 덧이, 송곳이'로 적어도 'ㄴ' 소리가 덧나서 [니]로 발음된다고(표준 발음법 제29항) 설명할 수 있는 데도 '간니', '덧니', '송곳니'로 적기 때문이다. 이러한 표기의 전통이 지속된 것은 '간이', '덧이', '송곳이'와 같이 적으면 [가니], [더시], [송고시]와 같이 발음하여 [간:니], [던니], [송:곤니]의 발음이 제대로 구사되지 않을 우려가 있어서이다. 그런 까닭에 단독으로 쓰일 때는 '이'로 적지만 합성어나 이에 준하는 말에서는 '간니, 덧니, 틀니', '가랑니, 머릿니' 등과 같이 적는다.

 

[더 알아보기]

 

■ '일'과 결합한 말의 발음

 

'몇 일'로 적으면 [면닐]로 소리가 난다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일(日)'이 결합하는 경우 [닐]로 소리 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닐]로 소리가 나는 것은 '일(事)'이 결합하는 경우다. 예를 들어 '칠 일(七日)'은 [치릴]로 소리가 나지만 '칠일(칠을 바르는 일)'은 [칠닐]을 거쳐 [칠릴] 소리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