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14)
관형사절의 문장 성분 생략(2024년 3월 고3 학평) ▪ 관형사절은 안은문장에서 관형어로 쓰이는데 이때 관형사절의 문장 성분이 생략되어 나타날 수 있음. [자료]○ 나는 동생이 좋아하는 음식을 준비했다.→ 관형사절 '동생이 좋아하는'에는 목적어 '음식을'이 생략되어 있음.○ 책의 내용을 모두 암기하기는 불가능하다.→ '책의 내용을 모두 엄기하기'는 명사절이며 주어로 쓰이고 있음.○ 교실에 있던 학생들이 운동장으로 나갔다.→ 관형사절 '교실에 있던'에는 주어 '학생들이'가 생략되어 있음.○ 악어가 물 밖으로 나온다는 사실을 알았다.→ 관형사절 '악어가 물 밖으로 나온다는'에는 생략된 문장 성분이 없음.○ 형이 내게 아홉 시까지 집에 오라고 말했다.→ '아홉 시까지 집에 오라고'는 간접 인용절이며 부사어로 쓰이고 있음.○ 나는 그 사람이 너를 속일 줄은 꿈에도..
합성어의 구성 방식(2024년 3월 고3 학평) ▪ 합성어 중에는 두 어근이 대등하게 결합하는 것이 있고(대등 합성어), 한 어근이 다른 어근을 수식하는 것도 있음(종속 합성어). 한편 각각의 어근이 원래 지닌 의미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것도 있음(융합 합성어). (예) 시냇물 주위로 논밭이 펼쳐진 경치가 아름답다. → '논밭'은 '논과 밭'을 의미하는 대등 합성어.       오늘 오랜만에 점심으로 보리밥 한 그릇을 먹었다. → '보리밥'은 '보리로 지은 밥'을 의미하는 종속 합성어.       버스가 돌다리를 건너 우리 마을로 들어서고 있었다. → '돌다리'는 '돌로 만든 다리'를 의미하는 종속 합성어.       지난밤 폭설로 인해 눈이 얼어 길바닥이 미끄러워졌다. → '길바닥'은 '길의 바닥 표면'을 의미하는 종속 합성어.       ..
음운 변동(2024년 3월 고3 학평) ▪ 제시된 단어들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음운 변동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그러한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다른 사례를 찾을 수 있어야 함. (예) 흙화덕[흐콰덕] : 자음군 단순화, 거센소리되기       드넓다[드널따] : 된소리되기, 자음군 단순화       끊겼다[끈켣따] : 거센소리되기,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겉치레[걷치레] : 음절의 끝소리 규칙 (예) 밝히다[발키다] : 거센소리되기       닭고기[닥꼬기] : 자음군 단순화, 된소리되기       깎고서[깍꼬서] :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숱하다[수타다] : 음절의 끝소리 규칙, 거센소리되기       단팥죽[단팓쭉] :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